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아동관련 이슈

아동학대의 유형과 발생 원인

by 꼬-선생 2022. 4. 3.
반응형

 

 

안녕하세요, 꼬선생입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아동학대 사건이 끊임없이 이슈화되고 있습니다.

아동에게 가해지는 신체적, 정신적 폭력과 가혹행위는 아동으로 하여금 평생 지울 수 없는 상처로 남게 되는데요.

아동은 스스로에 대한 보호 능력이 취약하기에 학대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발생 원인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아동학대의 개념

「아동복지법」 제 3조 제 7항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 가혹행위를 하는 것

또는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

 

 

 

아동학대의 유형

아동학대의 유형은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⓵ 신체학대

성인이 아동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신체 손상을 입도록 허용한 행위를 말합니다.

손이나 발 등으로 때리거나 꼬집고 할퀴는 행위 등 아동에게 가해지는 직접적인 신체 행위를 말할 수 있겠는데요. 그 뿐 아니라 뾰족하거나 둔탁한 도구로 아동의 신체를 찌르거나 때리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합니다.

 

⓶ 정서학대

아동에게 가해지는 언어적, 정서적, 심리적 학대를 말합니다.

모욕적인 언행으로 아동에게 좌절감을 주거나 정서를 위협하며, 심리적 불안감을 제공하는 일체의 행위를 포함하게 됩니다. 아동을 적대시하거나 원망하는 언어폭력, 정서발달과 연령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강요하는 행위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⓷ 성학대

성적 충족을 목적으로 18세 미만의 아동에게 성인이 가하는 모든 성적 행위를 말합니다.

성인이 아동으로 하여금 성적인 노출을 행하도록 하거나 성적 만족을 위해 아동을 관찰하는 행동이 해당됩니다. 아동에게 음란물을 노출시키거나 관찰하게 하는 관음적 행위 등이 이에 포합됩니다.

 

⓸ 방임

아동에게 반드시 필요한 의식주와 교육, 의료 조치를 제공하지 않거나 위험한 환경에 처하게 하는 행위입니다.

 

 

아동학대의 발생 원인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주요 원인이 되는 부모, 가정·지역사회 요인, 기관 요인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부모 요인

부모의 그릇된 아동관과 심리적 미성숙 또는 아동에 대한 양육 지식의 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릴 적 부모에게 받은 학대 경험이 자녀 양육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알코올 중독·약물 중독 등 기타 정신질환 또한 아동학대 행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정·지역사회 요인

가정에서는 자녀에 대한 소유의식을 가짐으로써 아동을 존중하지 않는 가치관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가족관계·가족구조의 문제사회적 고립·지지체계의 결여도 아동학대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기관 요인

아동학대·훈육·체벌에 대한 개념의 혼동, 아동의 문제를 적절히 지도하기 위한 논의의 부족을 요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교직원들의 과중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원의 방침 마련도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발생 원인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학대 행위는 아동의 신체적·정서적 성장을 방해하며 평생에 걸쳐 아동에게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아동학대의 유형과 발생 원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개개인의 노력과 사회적 실천이 반드시 필요하겠습니다.

 

 

반응형

'유아교육 > 아동관련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 스마트폰 중독 예방  (0) 2022.06.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