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부모양육 꿀팁

편식하는 아이 올바른 식습관

by 꼬-선생 2022. 5. 1.
반응형

 

 

안녕하세요, 꼬선생입니다.

 

우리 아이가 편식을 해서 걱정되었던 적이 있으신가요?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한번쯤 밥상 앞의 전쟁을 치러본 경험이 있을 텐데요.

좋아하는 음식만 먹으며 특정 음식을 완강히 거부하는 아이와 조금이라도 먹이려는 부모 사이의 신경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편식의 문제점과 식습관 개선 방법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편식이란?

좋아하는 음식만 먹을 뿐 아니라 특정 음식을 지나치게 좋아하거나 싫어하며
일상에서 빈번히 접하는 음식을 기피해 몸의 영양 불균형을 일으키는 것




편식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음식 경험이 적은 아이가 생소한 음식을 처음 접하였을 때 느끼는 낯선 감각은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성장기의 아이가 지속적으로 편식을 한다면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까요?

 

 

 

편식의 문제점

 

1. 올바른 성장과 건강을 해친다.

편식은 몸의 영양 불균형을 가져와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늦추게 되어 소아 비만, 면역력 저하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편식은 아이의 심리적, 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쳐 우울증, 주의력 결핍장애(ADHD) 등을 일으켜 신경질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3. 성인이 되어서도 편식하는 습관을 갖게 된다.

어른이 되어서도 편식을 하게 될 경우 건강상의 문제가 나타나거나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식습관 개선 방법

 

1. 아이에게 식사에 대한 즐거운 이미지를 심어준다.

편식에 대해 잔소리를 하게 되면 아이는 자연스레 식사에 대한 거부감을 느낍니다. 잔소리보다는 온 가족이 둘러앉아 즐겁게 이야기 나누는 경험을 갖도록 하여 식사에 대한 즐거운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아이가 식사하는 환경을 새롭게 조성한다.

평소 아이가 좋아하는 색깔, 캐릭터 등이 새겨진 식기 도구, 그릇 등을 준비하여 식사 환경에 대한 즐거움을 먼저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아이가 식사 시간을 편안하고 안정감 있게 느낄 수 있도록 의자, 식탁의 높이를 알맞게 조절하여 줍니다.

 

 

3. 단계별 과정을 통해 음식에 적응하도록 한다.

편식하는 음식을 바로 먹이기보다 냄새, 식감, 맛 등을 점진적으로 느끼도록 함으로써 아이가 음식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음식의 양을 차차 늘여가며 좋아하는 음식에 싫어하는 음식을 조금씩 다져 넣는 방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편식하는 음식의 조리법을 변화시킨다.

아이는 특정 음식의 맛보다 식감을 싫어할 수 있습니다. 조리법의 변화를 주어 전혀 다른 식감과 맛을 느끼게 함으로써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낮출 수 있습니다.

 

 

5. 아이와 함께 식사를 준비한다.

새로운 음식에 대한 낯선 감정이 아이의 편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때 아이가 새로운 음식에 익숙해지도록 단계별로 음식을 노출시킵니다. 예를 들어, 아이와 장을 보며 식재료를 만지거나 향을 맡는 등의 경험을 제공하여 거부감을 한층 낮추도록 합니다.

 

 

6. 음식에 대해 부모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부모가 먼저 음식을 맛보고 “음~ 정말 맛있다!”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아이는 자연스레 호기심을 갖게 됩니다. 평소 아이가 편식했던 음식임에도 먹어보려 시도한다면 부모가 구체적인 칭찬과 격려를 해주어 아이가 자신감, 성취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우리 아이에게 가장 잘 맞는 개선 방법을 찾아 실천해보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오늘은 편식의 문제점과 식습관 개선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정에서 편식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래봅니다.

반응형

댓글